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서 터미널을 연다.
gradlew로 빌드한다.
./gradlew build #현재 폴더에 gradlew 파일이 있어야 한다.
jdk 버전때문에 오류가 생긴다면 환경변수의 JAVAHOME을 바꾼다.
인텔리제이로 설치한 jdk는 보통 다음 위치에 있다.
C:\Users\사용자폴더\.jdks
또는 프로젝트 폴더에 gradle.properties 파일을 생성하고 org.gradle.java.home에 jdk 경로를 설정해준다.
org.gradle.java.home="jdk 경로"
경로를 쓸땐 역슬래시('\')를 두번씩 써야 된다. 아니면 그냥 슬래시('/')를 쓴다.
빌드가 정상적으로 되면 프로젝트에 build 폴더가 생성된다.
build/libs 폴더에 jar로 된 실행 파일이 있다. 이 파일을 실행한다.
java -jar build/libs/[jar 실행 파일]
A JNI error has occurred, please check your installation and try again 오류가 뜬다면 gradle을 빌드한 jdk의 bin 폴더에 있는 java.exe로 실행할 수 있다.
ex) C:\Users\user\.jdks\openjdk-21.0.2/bin/java.exe -jar [jar 실행 파일]
정상적으로 실행되면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.
웹브라우저로 접속해보면 서버가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부트 REST API (0) | 2024.02.28 |
---|---|
JPA 리포지터리로 데이터 관리하기 (0) | 2024.02.27 |
스프링부트 jpa PostgreSQL 사용하기 (0) | 2024.02.26 |
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구조 알아보기 (0) | 2024.02.26 |
스프링부트 시작하기 (0) | 2024.02.26 |